4학년 때 파이썬을 처음 접하고 기본이 잘 안 잡힌 상태에서 여러 가지 프로젝트를 접하다 보니
사칙연산을 못하는 계산기가 되어버린 기분이다..
그래서 기본적인 부분 중 취약한 부분을 골라 포스팅하면서 공부하는 시간이 꼭 필요할 것 같다.
자료형의 종류
파이썬이나 여타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과정이 변수에 상수를 넣는 과정인 것 같다.
즉, 변수(Variable) = 상수(Constant)
하지만 상수만 넣을 수 있다면 파이썬은 매우 불편한 언어였을 것 같다.
따라서, 변수(Variable) = 객체(Object)
역시 가능한 형태이다.
이때 객체가 이룰 수 있는 형태를 '자료형의 형태'라고 하고 그 종류는 다음과 같다.
기본자료형
기본자료형의 종류에는 대표적으로
int(정수), float(실수), complex(복소수), bool(논리값)
이 있다.
int(정수), float(실수), complex(복소수)는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형태이다.
a= 3
# a는 int형
b= 3.14
# b는 float형
c= 1-4j
d= complex(2,5)
# c, d는 complex형
생각해볼 것은 complex(복소수)의 형태이다. 나타내는 방법은 크게 2가지인데
- complex(a, b) -> a는 실수부, b는 허수부
- a+bj -> 수학적인 표현과는 조금 다르게 허수부의 i 대신 j를 써서 표현한다.
기본자료형에는 중요한 bool(논리형)이 있는데 boolean이 바로 그것이다.
bool에는 True, False형 2가지로 이루어져 있다.
내가 취약했던 부분은 군집자료형 부분이었다.
앞으로는 군집자료형에 대해 알아보고 서로 비교해보는 과정으로 진행해야겠다.
'주식공부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ictionary Python 배워보기 (0) | 2021.02.08 |
---|---|
21.02.08 월요일 상한가 (0) | 2021.02.08 |
21.02.05. 상한가 (0) | 2021.02.07 |
자동매매프로그램 UI 정리 및 종목명 변환코드 추가 (0) | 2021.02.07 |
주식 자동매매 프로그램 만들기 (0) | 2021.02.06 |